기타정보/기타

이재명,대법원 전원합의체 회부 배경, 주요 법리 쟁점, 일정 예측, 유사 사건 비교

실현부자 2025. 4. 23. 09:55
반응형

전원합의체 회부 배경

  • 사건 개요:
    2018년 경기지사 후보 TV토론에서 이재명 후보는 "형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려 한 적이 없다"고 발언.
    → 검찰은 이를 ‘허위사실 공표’로 기소.
  • 1·2심 판단:
    • 1심: 무죄
    • 2심: 무죄 (정확히는 발언 내용이 '허위'라 보기 어렵고, 공표의 고의성이 없다고 판단)
  • 대법원 내 의견 차이:
    일부 대법관이 "정신병원 입원 절차 시도는 있었고, 이를 부인한 건 허위"라고 판단 → 법리 통일 필요성으로 전원합의체 회부.

주요 법리 쟁점

  1. "허위사실" 인정 여부
    • 쟁점: 정신병원 입원 시도는 있었지만, 그 과정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 기존 판례: 사실과 다른 발언이라면 일정 요건 하에 ‘허위’로 간주함.
  2. "공표의 고의성"
    • 단순 실수가 아니라 유권자를 기만하려는 ‘의도’가 있었는지 여부가 핵심.
  3. 기존 판례와의 충돌
    • 허위사실 공표죄는 선거의 공정성 보호가 목적이나, 표현의 자유와도 충돌할 수 있음.
    • 전원합의체는 판례를 변경할 권한이 있음.

조희대 대법원장

전원합의체 일정 예측

  • 회부일자: 2025년 4월 19일 조희대 대법원장 회부 결정
  • 심리 및 선고 절차 예측:
단계 내용 예상시기
사건 기록 검토 대법관들이 기존 판결문, 증거자료 검토 ~5월 중순
평의(합의) 시작 대법관 13인 전원이 모여 토론 시작 5~6월 중 예정
선고일 결정 내부 합의 후 대법원 선고 기일 지정 2025년 6~7월 가능성 높음
선고 결과 공개 빠르면 2025년 7월, 늦으면 하반기

참고 사례: 2020년 이재명 대법 선고(지사직 유지 여부)도 약 3개월 걸림 → 이번도 유사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임.

향후 정치적 시나리오

시나리오  결과 정치적 파장
무죄 확정 의원직 유지, 대선 출마 가능 이재명 중심 체제 강화, 당내 리더십 고착
유죄 (벌금 100만원 이상) 의원직 상실 + 피선거권 박탈 (5년) 민주당 비대위 체제 전환 가능, 대선 판도 급변
전원합의체 판례 변경 향후 정치인 발언 기준 강화 선거 토론·인터뷰 위축 우려도 있음

유사 사건 비교 분석

2020년 이재명 경기지사 사건

  • 혐의: 직권남용 및 허위사실공표
  • 결과: 2심 유죄 → 대법원 무죄 취지 파기환송
  • 판례 포인트: "공직자의 표현도 일정 수준 허용돼야" → 표현의 자유 강조

2016년 김진태 의원 사건

  • 혐의: 허위사실 공표
  • 결과: 대법 무죄
  • 핵심 쟁점: 발언 취지가 불명확했고, ‘허위’로 단정하기 어려움

2021년 임종석 허위사실 공표 무혐의

  • 혐의: 북한 관련 발언
  • 검찰 자체 불기소
  • 참고 의미: 정치인 발언 판단에 있어 고의성과 전체 맥락 중요

정리 요약

  • 전원합의체는 6~7월 선고 가능성이 유력하며, 중도 대법관들의 판단이 결정적입니다.
  • 과거 판례는 대체로 "허위사실 기준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나, 조희대 체제 하에서는 판례 변경도 가능성 존재.
  • 유죄 확정시 이재명은 대선행이 좌절되고, 민주당의 차기 구도는 급격히 재편될 수 있습니다.

2025.04.22 - [기타정보/기타] - 대법원 전원합의체란? 헌법보다 무거운 ‘최고 법리’의 결정자

 

대법원 전원합의체란? 헌법보다 무거운 ‘최고 법리’의 결정자

오늘은 뉴스 속에서 종종 접하게 되는 ‘대법원 전원합의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이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지만, 실제로 전원합의체가 어떤 기능을 하며

go-buj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