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정보/기타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이용자들이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은?

실현부자 2025. 4. 24. 08:00
반응형

 

 

 

유심보호서비스 | T world

여기를 눌러 T world로 이동하세요.

m.tworld.co.kr

 

 유심 정보 유출, 왜 더 위험한가?

기존의 개인정보 유출은 이름, 전화번호, 주소, 주민번호 등 ‘문서 기반’의 정보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고는 유심 정보, 즉 디지털 신분증이 유출된 사건입니다. 유심에는 가입자의 IMEI(단말기 고유번호), IMSI(이동가입자 식별번호), 유심 인증키(Ki) 등 고유하고 민감한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이는 해커가 복제폰을 만들어 금융 사기, 심 스와핑(SIM swapping), 대포폰 개통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데이터입니다.

서울여대 박춘식 교수는 “이번 사건은 빙산의 일각일 수 있다”고 말하며 사고의 규모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동국대 황석진 교수 역시 “규모가 이 정도라면 더 많은 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하며 사안의 심각성을 경고했습니다.

SKT의 해명과 대응…충분한가?

SK텔레콤은 주민등록번호 등 민감한 개인정보는 유출되지 않았고, 유심 관련 정보만 유출되었다는 입장입니다. 또한 피해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며, 유심 정보로 인한 피해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해명에 확신을 가지기 어렵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황 교수는 “유심에는 앱 설치 내역도 담겨있기 때문에 해커가 이를 통해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까지 분석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단순히 전화기 하나의 문제가 아니라, 디지털 정체성 전체가 위협받고 있는 셈입니다.

 유심 보호 서비스, 얼마나 효과적일까?

SK텔레콤은 대응책으로 ‘유심 보호 서비스’를 전 고객에게 공지하며 무료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무단 기기 변경, 해외 로밍 등을 차단해 유심 복제 시 대포폰 사용을 어렵게 만듭니다. 실제로 공지가 나간 지 하루 만에 7만 2천 명이 가입할 정도로 고객들의 관심이 높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이 서비스는 사고 이후의 사후조치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사후약방문"에 그칠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2013년 카드사 정보 유출 당시처럼 “자신의 정보가 유출됐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부재하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됩니다.

 

 반복되는 이통사 유출 사고…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사실 이동통신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과거부터 여러 차례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겪어왔습니다. KT는 2012년 830만 명의 고객 정보 유출 사고로 과징금 7억 원을 낸 바 있고, LG유플러스는 2023년 해킹으로 30만 명의 정보가 유출돼 약 70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습니다.

SK텔레콤도 이번 사고로 인해 피해 규모와 무관하게 정보 유출 자체로 과징금 처분을 피할 수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보안을 비용이 아닌 ‘투자’로 인식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최신 해킹 기술에 맞서기 위해선 AI 기반 보안 기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실제로 2023년 기준 SK텔레콤과 자회사 SK브로드밴드는 정보보호에 총 868억 원을 투자했으며, KT는 1,218억 원, LG유플러스는 632억 원을 썼습니다. 하지만 금액의 크기보다 보안 체계의 실효성이 중요하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전화번호 유출 수준이 아니라 심각한 보안 위협을 안고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용자들이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은?

전문가들은 이용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조치를 권장합니다:

  1. 은행, 포털, SNS 등의 비밀번호 즉시 변경
  2. 이중 인증(2FA) 설정
  3.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4. 전화요금 이상 급증, 스팸 폭증 시 유심 노출 의심

특히 과거 유심 정보 해킹이 가상자산 탈취에 쓰인 전례가 있기 때문에, 가상자산 이용자들의 경우 보안 앱 설치 및 지갑 분산 관리 등의 조치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며

이번 유심 정보 유출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닙니다. 통신사를 신뢰하고 맡긴 우리의 디지털 정체성이 해킹의 먹잇감이 될 수 있는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사건입니다.

더 이상은 “우리 정보는 안전하다”는 말을 신뢰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이용자 스스로가 자신의 정보를 지키기 위한 노력과, 통신사의 선제적이고 투명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2025.04.22 - [기타정보/기타] -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건 정리 – 악성코드 감염, 원인과 대응은?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건 정리 – 악성코드 감염, 원인과 대응은?

통신 대기업도 뚫렸다… 고객 정보는 안전할까?2025년 4월 19일 밤, 국내 통신 3사 중 하나인 SK텔레콤에서 중대한 보안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내부 시스템이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일부 고객의 유

go-buj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