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 "중증외상"이라는 단어가 대중적으로 알려진 계기는 단연 한 사람 덕분이었다. 바로 이국종 교수. 헬기에서 내리는 모습 하나로 국민적 주목을 받았고, 생사의 경계에서 환자를 살려낸 이야기들로 사람들의 마음을 울렸다. 이번 글에서는 외과의사로서, 시스템의 개혁가로서, 그리고 인간 이국종으로서의 면모를 함께 조명해 보고자 한다.
1. 외상외과에 인생을 바친 사람
이국종 교수는 아주대학교병원 외상외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국내 중증외상 분야의 최전선에서 활동해 왔다. 사실 중증외상은 흔히 응급의학과와 혼동되지만, 교통사고, 추락 사고, 산업재해 등 심각한 외상을 다루는 외과의 한 분야다. 대부분의 병원은 이 분야를 기피해왔다. 인력도 부족하고, 수익성도 낮으며, 24시간 대기해야 하는 극도의 피로감이 따른다.
하지만 이국종 교수는 “누군가는 해야 한다”는 소명의식으로 이 일을 선택했다. 그는 미국에서 중증외상 시스템을 직접 경험한 뒤, 이를 한국에 도입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중증외상센터 설립부터 닥터헬기 도입, 시스템 정착까지 그의 손이 닿지 않은 곳이 없었다.
2. ‘아덴만 여명 작전’과 대중적 인식
이국종 교수의 이름을 대중에 각인시킨 결정적 사건은 2011년 ‘아덴만 여명 작전’이었다.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선원들을 구출하는 작전 도중 총상을 입은 석해균 선장을 살려낸 일이었다. 당시 석 선장은 생명이 위독했지만, 이국종 교수는 “이 사람 살릴 수 있다”며 군용기를 타고 현지에 파견되어 생명을 구해냈다.
이 일로 인해 그의 존재는 뉴스 헤드라인을 장식했고, 국민들은 그를 “국민 외과의사”로 기억하게 됐다. 그러나 정작 본인은 늘 “혼자가 아니었다”며 팀의 노고를 강조했다. 이는 단지 의료적 성취뿐 아니라, 진정한 리더십이란 무엇인지를 보여준 장면이었다.
3. 시스템과 싸우다
그의 또 다른 면모는 바로 의료 시스템과의 끊임없는 싸움이었다. 이국종 교수는 수차례 방송과 언론을 통해 “환자는 많은데, 병원 시스템이 그들을 감당하지 못한다”며 현장의 실상을 고발했다. 그의 증언은 의료계 내부에서도 큰 파장을 일으켰고, 정치권에서도 일시적으로나마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그에 대한 조직 내부의 반발도 적지 않았다. 병원 내에서의 갈등, 예산 문제, 인력 문제 등으로 인해 그는 수차례 좌절을 겪었고, 결국 2020년 아주대병원을 떠났다. 그가 떠나는 날, 수많은 국민들이 그의 선택에 안타까움을 표했고, “의사가 아닌 시스템이 환자를 죽인다”는 그의 말이 다시 회자되었다.
4. 인간 이국종
의학적 업적이나 사회적 발언만으로는 이국종이라는 사람을 다 설명할 수 없다. 그는 평소 미술과 고전음악을 즐기고, 병원 밖에서는 수줍고 조용한 사람이다. 학생들에게는 엄격하지만 늘 따뜻한 조언을 아끼지 않는 스승이었고, 후배들에게는 험한 길을 열어준 선구자였다.
한 방송에서 그는 “이 일을 하면서 제 인생은 거의 다 망가졌어요. 하지만 그래도, 한 명이라도 더 살릴 수 있다면 괜찮아요”라고 말한 적 있다. 이 말은 단지 멋진 대사로만 들리지 않는다. 오랜 시간의 고뇌와 실천이 만든 진심어린 외침이다.
5. 그가 남긴 것들
이국종 교수가 병원을 떠난 지금도, 그가 남긴 흔적은 곳곳에 남아 있다. 전국 17개 권역외상센터 시스템, 닥터헬기의 전국 배치, 외상센터의 예산 독립 등은 그가 오랫동안 싸워 만든 결과다. 물론 아직도 부족한 점은 많지만, 이 모든 변화의 출발점에는 이국종 교수가 있었다.
또한 그는 “영웅”보다는 “평범한 시스템”을 꿈꿨다. 누군가의 희생이 아니라, 모든 의사가 지킬 수 있는 안정적인 환경. 그것이야말로 진짜 선진국형 의료라는 그의 철학은 아직 유효하다.
6. 마무리하며
이국종 교수는 한 사람의 인생으로 얼마나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는지를 보여준 사람이다. 그러나 그는 또한, 의료 시스템이 개인의 헌신에만 의존해선 안 된다는 점도 강하게 경고했다.
그의 삶은 의사로서의 헌신이 무엇인지, 시스템의 중요성이 무엇인지를 우리 모두에게 묻고 있다. 이제 그 질문에 답할 차례는 우리 사회와 정부, 그리고 국민 모두에게 있다.
'기타정보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성 록의 아이콘, 콜드플레이(Coldplay)를 말하다, 티켓예매, 추천곡 리스트 (6) | 2025.04.16 |
---|---|
K콘텐츠, 할리우드 이은 세계 2위 인기…넷플릭스가 주목한 이유는? (2) | 2025.04.16 |
배민 vs 네이버 주문 vs 쿠팡이츠 – 배달 앱 뭐가 제일 좋을까? (고객 시점 비교) (1) | 2025.04.15 |
배민 vs 네이버 주문 vs 쿠팡이츠, 사장님이 알아야 할 3대 플랫폼 비교! (0) | 2025.04.15 |
배민(배달의 민족) 포장 주문 유료화, 자영업자의 시선은?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