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개요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의 파스칼 겔드세처 교수팀은 대상포진 백신이 치매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3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게재되었으며, 영국 웨일스 지역의 79세 전후 노인을 대상으로 7년간 추적 조사를 진행한 결과, 백신 접종자의 치매 발병 위험이 미접종자보다 2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백신을 이용한 치매 예방 가능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증거라고 강조했다.
2. 대상포진과 백신 개요
2.1 대상포진이란?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어린 시절 수두를 앓았던 사람들의 몸속에 바이러스가 잠복 상태로 존재하다가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재활성화되면 대상포진이 발병한다.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은 피부 발진과 물집이며, 심한 통증이 동반된다. 대상포진의 통증은 종종 ‘바늘로 찌르는 듯한 느낌’이나 ‘살이 찢어지는 고통’으로 묘사된다.
2.2 대상포진 예방과 치료
대상포진 예방을 위해 현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백신 접종이다. 일반적으로 면역력이 약해지는 50세 이상 성인에게 백신 접종이 권장되며, 특히 60세 이상에서는 필수적으로 접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대상포진 백신은 바이러스의 독성을 약화한 ‘약독화 생백신(live attenuated vaccine)’과 새로운 ‘불활성화 재조합 백신(recombinant subunit vaccine)’ 두 가지가 있다. 연구에서 사용된 백신은 약독화 생백신이었다.
3. 연구 방법
연구진은 영국 웨일스 지역의 79세 전후 노인 28만 2541명을 대상으로 대상포진 백신 접종과 치매 발병률 간의 관계를 조사했다. 연구 대상자들은 출생 시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되었다:
- 2013년 9월 1일 이전에 79세가 된 사람: 1년간 백신 접종이 가능
- 78세인 사람: 다음 해부터 1년간 접종 자격 부여
- 80세가 된 사람: 접종 대상에서 제외됨
이러한 차이를 이용해 연구진은 출생 시기가 몇 주 차이밖에 나지 않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백신 접종 여부가 치매 발병률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진은 백신 접종자와 미접종자의 치매 발병률을 7년간 추적 관찰했다.
4. 연구 결과
4.1 대상포진 발생률 감소
연구진은 백신 접종 그룹과 미접종 그룹을 비교한 결과, 백신을 맞은 그룹에서 대상포진 발생률이 37%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이는 대상포진 백신이 바이러스 재활성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2 치매 발병 위험 감소
2020년까지 연구 대상자 중 86세와 87세 노인 8명 중 1명이 치매 진단을 받았다. 연구 결과, 대상포진 백신을 접종한 그룹은 미접종 그룹보다 치매에 걸릴 확률이 20% 낮았다. 이는 백신이 뇌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다.
5. 연구의 의미와 해석
5.1 면역 체계 활성화 효과
연구팀은 백신 접종이 치매 예방에 기여하는 이유에 대해 두 가지 가설을 제시했다. 첫 번째는 백신이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여 염증 반응을 줄이고 뇌 기능을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성적인 염증이 치매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백신 접종을 통해 염증 수준을 낮추는 것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5.2 바이러스 재활성화 억제 효과
두 번째 가설은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재활성화가 신경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신경세포를 공격하고 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염증 반응이 시간이 지나면서 치매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백신을 통해 대상포진을 예방하면 치매 위험도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5.3 백신을 활용한 치매 예방 가능성
이번 연구는 백신 접종이 단순한 감염 예방을 넘어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백신의 치매 예방 효과를 가장 명백하게 보여주는 증거”라고 평가하며,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더욱 정확한 메커니즘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6. 한계점 및 추가 연구 필요성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관찰 연구(observational study)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완전히 확정할 수 없다는 점을 인정했다. 즉, 백신 접종이 직접적으로 치매를 예방한 것인지, 아니면 백신을 맞을 정도로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한 사람들이 치매 발병률이 낮았던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무작위 임상시험(randomized clinical trial, RCT) 형태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에서는 약독화 생백신을 사용했으나, 최근 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불활성화 재조합 백신(Shingrix)도 유사한 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불활성화 백신은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도 접종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 이 백신의 효과도 분석할 필요가 있다.
7. 결론
이번 연구는 대상포진 백신이 단순히 대상포진 예방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치매 예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를 제시했다. 연구진은 “대상포진 백신 접종이 치매 예방 전략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하며,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백신의 신경 보호 효과를 더욱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 대상 백신 접종 정책을 강화하고, 치매 예방을 위한 공중보건 전략을 새롭게 수립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향후 백신 접종을 통해 신경퇴행성 질환을 예방하는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건강정보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울토마토 vs 일반 토마토: 영양 차이부터 보관법까지 완벽 정리 (1) | 2025.04.05 |
---|---|
염증, 건강을 위한 신호인가? 만성염증의 위험성과 예방법 총정리 (1) | 2025.04.05 |
스마트폰 인터넷 차단이 뇌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연구 (3) | 2025.04.04 |
바나바잎(Banaba Leaf)의 효능 (1) | 2025.04.02 |
다이소 건강기능식품: 시중 건기식과의 차이점 및 소비자 가이드 (2)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