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정보/부동산

수인선에 인하대역과 송도역 사이에 학익역 개통 수인선은 수원과 인천을 연결하는 철도인데요. 인천시 미추홀구 용현·학익 도시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수인선에서 학익역(가칭)이 신설됩니다. 수인선 학익역은 용현·학익(1블록)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추진되는 사업이며, 수인선 송도역과 인하대역 중간에 설치됩니다. 1단계 사업인 지하 1·2층 본선 구조물 공사는 지난 2018년 9월 이미 완료된 상태입니다. 학익역 바로 남쪽에 학익JC가 있dmau, 학익JC는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항 방면 종점과 인천공항 방면 인천대교 연결도로가 갈라지는 분기점에 위치해 있습니다. 시티오씨엘 3단지 등 대단지 아파트가 2024~2025년에 입주할 예정이며 옛 OCI 인천공장 터에 2027년 조성 완료를 목표로 인천뮤지엄파크가 조성될 예정입니다. 현재 .. 더보기
김포 버스전용차로로 혼잡도 다소 개선, 추가 셔틀버스 투입 노력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에 따르면 지난달 26일부터 최근 2주간 버스전용차로 개통과 대체 교통수단인 시내버스(70번) 운영 등으로 '김포골드라인'의 혼잡도는 평균 208%에서 193%까지 낮아졌다고 합니다. 버스전용차로 개통 전 최대 227%(5월 기준 224%), 평균 208%(5월)이었던혼잡도가 최대 203%, 평균 193%(개통 이후 2주간)까지 개선되었으며, 골드라인의 대체 교통수단인 시내버스 70번(A·B·C·D) 승객 수가 일평균 700여명(80%增)이 늘어난 평균 1,681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6월8일기준)되었습니다. 승객의 철도 선호도, 소요시간에 따른 버스증차 대책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버스전용차로 개통 및 병목구간 개선으로 ‘고촌→김포공항’ 통행시간이 6.5~9.. 더보기
대곡소사선 개통, 노선도, 환승역 1. 대곡소사선 개통 작년에 개통예정이었으나 계속 연기되었던 대곡소사선이 7월 1일 개통합니다. 대곡소사선은 일산과 화곡 그리고 부천을 상하로 연결하는 노선으로 경기 서부에 획기적으로 교통편이 좋아지게 됩니다. 지하철 노선도 (대곡소사선 포함) 2. 대곡소사선 노선도 무엇보다도 기존에 동에서 서로 이어지는 3호선, 경의 중앙선, 9호선, 5호선 그리고 GTX-A노선을 남북으로 이어주면서 환승이 편해 진다는 점입니다. 지하철 노선도 (대곡소사선 포함) 대곡~소사선 일산연장선이 개통하면 일산 백마마을, 후곡마을, 백송마을, 정발마을, 밤가시마을이 수혜를 받을 예정이며, 경의선 북쪽에 있는 풍산동, 중산동, 일산1·2동, 탄현동 일부도 혜택 지역 안에 포함됩니다. 또한 대곡소사선은 서해선과도 연결이 되어 안산.. 더보기
2023년 6월 1주 주간 아파트 매매, 전세 가격 2023년 6월 1주(6.5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이 발표되었습니다. 매매가격은 0.02% 하락, 전세 가격은 0.05% 하락했습니다. 하락폭은 올해 초 대비는 많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서울은 매매와 전세가 소폭 상승하는 상황을 보이고 있습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2%) 대비 하락폭이 축소되었습니다. 수도권(-0.01%→0.01%)은 상승 전환, 서울(0.04%→0.04%)은 상승폭 유지, 지방(-0.06%→-0.05%)은 하락폭 축소(5대광역시-0.08%→-0.08%), 8개도(-0.05%→-0.05%), 세종(0.13%→0.18%)) 되었습니다. 시도별로는 세세종(0.18%), 서울(0.04%), 인천(0.04%)은 상승, .. 더보기
평택~오송 2복선화 등 충청권 8개 철도 사업에 올해 7,082억 원 투입 국가철도공단은 2023년도 충청권 내 고속 · 일반철도 건설사업등 8개 사업에 7,082억 원을 투입합니다. 고속철도는 평택~오송 2복선화, 경부고속2단계 대전북연결선 등 2개 사업이며, 일반철도는 서해선 복선전철, 이천~문경철도건설, 포승~평택 철도건설, 장항선(신창~대야) 복선전철, 장항선 개량 2단계, 대전차량기술단 인입철도 이설공사 등6개사업을 추진합니다. 이제 충청권은 전철로 수도권과 추가 연계가 될 예정이고, 고속철도가 전라권과 경상권에 추가되면서 병목현상이 예상되는 평택~오송 복선화가 시급한 과제였기 때문에 빠르게 진행될 예정입니다. 올해 본격 착수하는 충청권 고속철도 건설사업은 평택~오송2복선화와 경부고속 2단계 대전북연결선 등 2개 사업입니다. 평택~오송 2복선화는 경부고속선과 수서평택고.. 더보기
안심전세 2.0 출시, 제공방식, 차이점 국토부는 지난 2월 「안심전세 App 1.0」을 출시하였으며, 전세사기 피해확산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고려하여 당초 일정인 7월보다 두 달 앞당겨 5.31일 정오부터안심\전세 App 2.0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앱 2.0에서는 당초 수도권 연립・다세대 등에 한정되었던 시세제공 범위를전국 시군구까지 확대하고, 오피스텔, 대형 아파트까지 가능합니다. 수도권 168만호에 그쳤던 시세 표본수를 전국 1,252만호로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앱 2.0에서는 악성임대인 여부, 보증사고 이력, 보증가입 금지여부에이어 국세・지방세 체납여부도 확인할 수 있으며, 임차인이 카카오톡으로집주인에게 신청하면 임차인 폰으로 손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집주인도 앱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일정 요건을 충족한 집주인에게는 ‘.. 더보기
2023년 4월 주택 통계, 미분양, 인허가, 착공,입주 실적 아파트 시장은 정확한 수요공급에 맞추어서 분양과 입주를 맞출 수는 없는 것 인가 봅니다. 아파트 시장은 공급과잉-->미분양--> 주택가격하락 --> 인허가 축소--> 분양 축소--> 공급축소-->주택가격 상승--> 공급 과잉 으로 사이클이 발생을 하는 것 같네요. 아래 기사는 분양,인허가, 착공이 급감하고, 현재 입주 물량은 많은 편이라고 하며, 2~3년 후 신축 부족이 우려된다는 기사입니다. 그리고, 입주가 많아지면서 역전세를 우려하는 기사입니다. 위 기사대로 2023년 4월 기준으로 미분양, 인허가 실적, 착공은 감소하고 있고(2~3년 후 입주물량), 입주 물량(1~2개월 내 입주 물량)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1. 지역별, 면적별 미분양 실적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11,609호로 전월(11.0.. 더보기
2023년 3월 주택 통계, 미분양, 인허가, 착공,입주 실적 2023년3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72,104호로 집계되었으며, 전월(75,438호) 대비 4.4%(3,334호) 감소하였습니다. 전국 미분양(호) : (’22.12월) 68,148 (‘23.1월) 75,359 (2월) 75,438 (3월) 72,104 현재 인허가, 착공, 승인 실적은 30~40% 급감하고 있고, 입주실적은 다소 증가 (3%)했습니다. 금리가 상승하면서 중소건설사들은 도산하는데도 있고, 고금리에 이자비용을 감안하면 신축 아파트를 짓고 분양하는게 수익성이 안나와서 기존에 분양모집했던 아파트도 위약금을 물고 취소하는 건설사도 나오고 있네요. 건설사에서 자금 조달이 쉽지가 않아서 회사채를 발행해도 실패하는 건설사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회사채(금리 약 5%) 대비 금리..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