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 4.5일제란? – ‘금요일 오후는 쉬자’는 변화
최근 정부와 정치권, 일부 기업을 중심으로 ‘주 4.5일제’ 도입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주 4.5일제란, 말 그대로 주 5일 근무에서 금요일 오후를 휴무로 전환해 ‘주 4일 반 근무’ 형태로 전환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주 4일제’로 가기 위한 과도기적 모델로서, 단순히 노동시간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생산성과 삶의 질을 동시에 높이는 정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MZ세대 중심으로 워라밸(Work-Life Balance)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노동시간 단축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네이버·카카오·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등 일부 IT 기업과 혁신 스타트업에서는 금요일 오후 자율 퇴근제를 이미 시행 중이며, 서울시도 ‘금요일 오후 휴무 시범사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 왜 주 4.5일제가 논의되고 있을까?
주 4.5일제가 등장한 배경은 다음과 같은 사회적 흐름과 맞닿아 있습니다.
- 생산성 중심의 근무 문화 전환
단순한 시간 노동에서 벗어나, 성과 중심의 유연근무제 확산. - 저출생·고령화에 대응한 가족친화 정책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한 출산율 회복, 가족 돌봄 시간 확보. - 노동자 정신 건강 문제 대응
번아웃·우울증 예방, 자율시간 확대를 통한 복지 향상. - 청년층 ‘탈노동화’ 현상 완화
MZ세대는 ‘돈보다 시간’을 더 중시하며, 장기 근속 대신 삶의 만족도를 중시함.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정치권에서도 적극적인 논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총선을 앞두고 ‘주 4.5일제’를 공약으로 내세우는 정당과 후보도 생겨나면서 제도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3. 주 4.5일제 시행 시 경제에 미치는 영향
근무일이 줄어들면 소비도 위축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지만, 실제로는 여가 및 자기개발 소비 시장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해외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존재합니다.
- 영국 4일제 실험 결과: 기업의 생산성은 유지되거나 오히려 증가, 직원 만족도는 대폭 상승.
- 일본의 소니, 미쓰비시 등 대기업: 유연근무 확대로 이직률 감소, 업무 집중도 향상.
이처럼 주 4.5일제는 단순한 노동시간 축소가 아닌, 사회 전반에 긍정적 파급 효과를 낳는 제도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4. 주 4.5일제 수혜 예상 업종
주 4.5일제가 본격 도입될 경우, ‘금요일 오후’부터 주말까지 여가 및 소비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수혜가 예상되는 업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레저·여행·관광
- 짧은 주말 여행, 근거리 호캉스 수요 폭발
- 항공·숙박·테마파크·렌터카 등 예약 증가
② 외식·배달·편의소비
- 금요일 오후 외식·카페 수요 증가
- 배달앱, 간편식, 주류 소비도 동반 증가
③ 콘텐츠·엔터테인먼트
- OTT 플랫폼, 게임, 웹툰 소비 시간 확대
- 문화 생활을 즐기는 시간적 여유 증가
④ 자기계발·교육·피트니스
- 운동, 자격증, 취미, 독서 관련 지출 증가
- 평일엔 어려웠던 일상 속 자기계발이 활성화
5. 주 4.5일제 관련주 TOP Pick
알서포트 (131370)
- 핵심 테마: 원격근무, 화상회의 솔루션
- 포인트: 주 4.5일제 도입 시 원격근무 수요 증가 예상
- 수혜 근거: 클라우드 기반 협업 솔루션 보유 (리모트미팅, 리모트뷰 등)
삼정데이타서비스 (032190)
- 핵심 테마: 근태관리 시스템, HR SaaS
- 포인트: 유연근무제 확산 시 출퇴근 관리 시스템 수요 증가
- 수혜 근거: '다우오피스' HR통합 솔루션 운영
더존비즈온 (012510)
- 핵심 테마: ERP, 그룹웨어, 재택·하이브리드 근무 인프라
- 포인트: 기업의 디지털 업무환경 구축 필요성 증가
- 수혜 근거: 국내 1위 ERP 기업, 'WEHAGO' 플랫폼 보유
이씨에스 (067010)
- 핵심 테마: 콜센터 아웃소싱, 클라우드 컨택센터
- 포인트: 유연근무 확대에 따라 고객 응대 방식도 변화
- 수혜 근거: KT그룹 콜센터 운영 경험,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제공
.휴넷 (크래프톤 출자, 비상장 / IPO 기대감)
- 핵심 테마: 기업 교육 플랫폼
- 포인트: 주 4.5일제는 역량 중심 근무 시스템 전환 유도
- 수혜 근거: B2B 대상 역량 교육 및 마이크로러닝 플랫폼 운영
- ※ 비상장 → 상장 기대감으로 수혜주로 언급
6. 소비 확대 관련주 (여가·여행·외식 등)
하나투어 (039130) / 모두투어 (080160)
- 핵심 테마: 짧은 여행 수요 확대
- 포인트: 주말 연장에 따른 단기 여행 수요 폭발 가능성
CJ CGV (079160)
- 핵심 테마: 문화 소비 증가
- 포인트: 평일 오후 관람률 증가 기대
GS리테일 (007070) / BGF리테일 (282330)
- 핵심 테마: 근무 단축 → 여가소비 증가
- 포인트: 도시락, 편의식 등 간편식 소비 확대 기대소비 확대 관련주 (여가·여행·외식 등)
- 핵심 테마: 짧은 여행 수요 확대
- 포인트: 주말 연장에 따른 단기 여행 수요 폭발 가능성
- 핵심 테마: 문화 소비 증가
- 포인트: 평일 오후 관람률 증가 기대
- 핵심 테마: 근무 단축 → 여가소비 증가
- 포인트: 도시락, 편의식 등 간편식 소비 확대 기대
6. 마무리: 삶의 질이 경제를 바꾼다
주 4.5일제는 단순히 근무일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일과 삶을 재정의하는 혁신적 정책입니다. 워라밸을 중시하는 MZ세대의 가치관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면서, 관련 산업과 기업에도 큰 변화를 일으킬 것입니다.
“금요일 오후의 여유”는 새로운 소비와 문화의 출발점이 될 것이며, 이에 발맞춘 투자 전략 또한 유효할 수 있습니다. 제도 도입 흐름과 관련 산업의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선제적으로 관련주를 포트폴리오에 담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기타정보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동구 길동사거리 싱크홀 발생…도로 일부 통제 (1) | 2025.05.01 |
---|---|
고윤정, '언젠가는 슬기로운 전공의 생활'과 그녀의 진심이 담긴 이야기 (4) | 2025.05.01 |
강원 인제 산불, 재발화까지… 잊을 수 없는 ‘봄의 불청객’ (1) | 2025.04.30 |
김문수, 노동운동가에서 보수 정치인으로: 그 극적인 여정 (2) | 2025.04.30 |
충북장애인도민체전 개막식, 부실 도시락 논란…무엇이 문제였을까? (1)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