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부동산

서울시 강남 3구 및 용산구 아파트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반응형

1. 개요

정부와 서울시는 2025년 3월 19일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의 모든 아파트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달 12일 잠실, 삼성, 대치, 청담 지역을 해제한 지 35일 만에 이루어진 조치로, 강남 3구에서 시작된 집값 급등 현상이 확산되자 이를 억제하기 위한 초강수 정책으로 평가된다.

2. 주요 내용

  • 지정 대상: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 아파트 2,200개 단지, 약 40만 가구
  • 지정 기간: 2025년 3월 24일~9월 30일 (6개월)
  • 규제 내용:
    • 신규 아파트 매매 계약 시 관할 구청장의 허가 필수
    • 실거주 목적의 매매만 허용, 갭투자(전세 끼고 매입) 불가
    • 2년간 실거주 의무 부여
    • 규제 대상에서 제외됐던 서초구 반포동과 용산구 한남동 포함

3. 배경 및 필요성

  •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2025년 2월 12일) 이후 강남 3구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시장 불안 확대
  •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강남 3구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으로 확산
  • 국정 혼란기 속에서 부동산 시장 불안 장기화 가능성 우려
  • 정부의 시장 안정화 및 투기 억제 필요성 증가

4. 정부 및 서울시 입장

  • 국토교통부 박상우 장관: "서울 및 수도권 주택가격이 이례적으로 빠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이 주변 지역으로 확산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어 선제적인 대응이 시급하다."
  • 오세훈 서울시장: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강남을 중심으로 변동성이 커진 점을 겸허히 받아들이며, 이에 따른 시장 과열을 막기 위해 단호하게 대응하겠다."

5. 정책 신뢰도 및 시장 반응

  • 불과 한 달여 만에 규제 완화에서 강력한 규제로 급변한 정책에 대한 신뢰도 문제
  • 시장 변동성이 오히려 커질 가능성 존재
  • 투자자 및 실수요자 모두 혼란스러운 상황

6. 추가 조치 및 향후 전망

  • 풍선효과 차단: 마포구, 성동구 등 인근 지역 추가 지정 검토
  • 기존 토지거래허가구역 유지: 압구정, 여의도, 목동, 성수동 등 주요 재건축·재개발 단지 포함
  • 시장 안정 조치 강화:
    •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확대 검토
    • 주택담보대출 및 전세대출 규제 강화
    •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의무화 및 자금출처 조사
    • HUG 전세대출 보증비율 하향 조정(100% → 90%) 조기 시행(7월 → 5월)
    • 정책대출(디딤돌·버팀목) 금리 추가 인상 검토

7. 결론

이번 조치로 서울 내 토지거래허가구역은 기존 52.79㎢에서 163.96㎢로 약 3배 확대되며, 이는 서울시 전체 면적(605.24㎢)의 약 27%에 해당한다. 정부는 이번 조치 이후에도 시장이 과열될 경우 금융·세제 등 추가 규제를 고려할 방침이다. 그러나 정책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부작용 및 시장 불확실성 증가 가능성이 있어 향후 시장 반응을 면밀히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