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경제

인플레이션 배경 및 현황

by 실현부자 2023. 2. 8.
반응형

 국내외 인플레이션 요소가 산재하여 인플레이션 얘기가

 

언론에 많이 노출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의 배경 및 현황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배경

  1.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에너지 및

  농산품 글로벌 공급망 제약과 코로나19가 진정세로 돌아서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상승이 있었습니다.

 

 

 2. 그에 따라 미국을 필두로 금리인상에 따른 긴축 기조 강화,

 

 유가 및 원자재 안정화로 물가 상승이 둔화되고 있으나,

 

 국가별 둔화 속도는 차이가 있습니다.

 

 추후 에너지를 비롯한 원자재의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에 주목해야 하며, 미국과의 금리 역전에 따른

 

 환율 변동을 주시해야 합니다.

 

 

현황

1.  코로나19에 따른 초저금리로 유동성 확대 및 수요 회복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에너지 및 원자재 비용증대로

 

인해물가상승률 최고치로 상승하였습니다.

  

 

2. 미국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과 유가 및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인플레이션 완화

 

 

   -  유럽 천연가스와 국제유가의 변동성은 높으나

 

    안정화 되는 추세입니다.

 

   -  글로벌 공급망이 개선되면서 물가하락으로 이어집니다.

 

   - 미국 연준의 금리 인사에 따른 가시적인 효과로

 

   식량 에너지 물가 상승폭이 둔화되었습니다.

 

 

  - 그에 따른 미국 CPI 및 Core CPI 상승 둔화되었고,

 

    한국도 금리인상에 따른 CPI 감소하였으나

 

    미국 대비 CPI 완화 속도는 차이가 있습니다.

 

                                                                              [미국 CPI]

 

                                                                                  [한국 CPI]

 

- 미국은 기준금리를 연속적으로 상승하여 4.75%까지 상승하였습니다.

 

 

- 그에 따라 우리나라도 금리를 올려서 CPI가 감소한는 추세로 돌아섰으나,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상승으로

 

서비스 물가는 급격한 감소가 아닌 완만한 변곡점이 생겼습니다. 

 

 

정부에서는 이에 따른 물가 안정을 위해서 유류세 인하 및 개별 소비세 인하 

그리고, 난방비  증가에 따른 가스요금 지원책 등을 내 놓고 있습니다. 

 

또한 21년~22년 영끌 및 대출로 주택을 구매했던 20/30세대가

 

무너지지 않도록, 그리고 부동산 가격 급락에 따른 한국 경제 타격을

 

완화하기 위해 기준 금리를 3.5%로

 

미국 기준금리 대비 역전 현상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른 환율 상승 우려가 있으나, 한국은행에서도

 

미국처럼 금리를 급격히 올리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