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트위터(엑스) 등 소셜미디어에서 갑자기 지브리 애니메이션 주인공처럼 보이는 프로필 사진이 넘쳐나고 있습니다. 바로 오픈AI가 최근 챗GPT에 탑재한 AI 이미지 생성 기능 덕분인데요. 이 기능이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면서, 챗GPT가 국내 모바일 앱 신규 다운로드 1위를 차지했습니다.
그야말로 신드롬입니다. 단순한 이미지 변환을 넘어, 전 세계 이용자들이 '나만의 애니메이션 캐릭터화'를 즐기며 열풍에 동참하고 있는 모습이죠. 이번 글에서는 챗GPT 앱의 급부상, 지브리풍 이미지 생성 기능의 인기 이유, 그리고 저작권 논란까지—이슈의 전말을 차근차근 정리해보겠습니다.
챗GPT, 주간 앱 다운로드 1위!
시장조사업체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2024년 3월 31일부터 4월 6일까지 챗GPT 앱은 총 272만7599건의 신규 설치를 기록하며 전체 모바일 앱 가운데 당당히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전까지는 네이버의 신작 쇼핑 앱인 ‘네이버플러스 스토어’가 1위를 차지했지만, 이번 주엔 챗GPT가 압도적으로 치고 올라오며 순위를 뒤집은 겁니다.
순위 | 앱 이름 | 신규 다운로드 |
1위 | 챗GPT | 2,727,599건 |
2위 |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 682,031건 |
특히, 챗GPT의 한국 내 **월간 활성 이용자(MAU)**도 눈에 띄게 늘어났습니다.
- 2월: 386만 9088명
- 3월: 509만 965명
→ 처음으로 500만 명대 진입!
이러한 급성장은 단연코 새롭게 추가된 이미지 생성 기능, 특히 ‘지브리풍 변환’이 한몫했다고 분석됩니다.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 기능이 뭐길래?
지난 3월 25일, 오픈AI는 챗GPT에 새로운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바로, 사용자가 올린 사진을 다양한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바꿔주는 AI 이미지 생성 기능입니다.
- 🎞 지브리 스튜디오 스타일 (가장 인기!)
- 🧙♂️ 디즈니 스타일
- 😂 심슨 가족 스타일
- 🐲 애니메풍 캐릭터화
그중 가장 큰 인기를 끈 것이 바로 **'지브리 프사'**입니다. 스튜디오 지브리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하울의 움직이는 성》 등으로 유명한 일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죠. 이 감성적이고 따뜻한 그림체로 자신의 얼굴을 변환한 뒤, SNS 프로필 사진으로 바꾸는 ‘놀이’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처럼 번졌습니다.
사용자들은 "내가 지브리 주인공이 된 느낌", "너무 감성적이라 감동", "한 장의 그림이 힐링이 된다"며 열광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GPU가 녹을 뻔? 서버 과부하 사태
이처럼 글로벌 유저들이 몰리자, 오픈AI CEO **샘 올트먼(Sam Altman)**은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혔습니다.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 요청이 몰려 GPU가 녹아내릴 정도로 서버가 과부하 상태입니다.”
실제로 특정 시간대에는 이미지 생성 요청이 지연되거나 일시적으로 기능이 제한되기도 했는데요. 이는 사용자 수요가 얼마나 폭발적이었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 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 논란도 불거져
한편, 이 지브리풍 이미지 생성 기능은 지브리 스튜디오의 스타일을 모방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어, 저작권 침해 논란도 함께 불거지고 있습니다. 지브리 스튜디오는 오랜 시간 그들만의 독창적인 화풍을 구축해왔고, 이번 AI 이미지들이 해당 스타일을 거의 ‘모방 수준’으로 재현한다는 점에서 일부 창작자와 법조계 인사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까지 지브리 스튜디오나 오픈AI 측에서는 공식적인 법적 대응이나 경고는 없는 상황입니다. 앞으로 AI 생성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 가이드라인이 정비될 필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챗GPT의 다음 행보는?
챗GPT는 이제 단순한 챗봇이 아닙니다. 글쓰기, 코딩, 요약뿐 아니라 **이미지 생성, 스타일 변환, 음성 안내까지 통합한 ‘멀티모달 AI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지브리 열풍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AI가 창작에 미치는 영향력과 사용자 체험 방식의 변화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오픈AI가 어떤 기능을 또 추가하게 될지, 그리고 그 기능이 다시 한번 시장을 뒤흔들 수 있을지 주목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마무리하며
요즘 SNS에서 지브리풍 프사를 봤다면, 그 출처는 대부분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처럼 AI의 기술력이 이제는 ‘놀이’와 ‘창작’까지 확장되며, 실생활에 깊숙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챗GPT가 앱 다운로드 1위를 기록한 것은 단순한 기능 하나 때문이 아니라, 그 기능이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새로운 표현 욕구를 만족시켰기 때문이 아닐까요?
여러분도 아직 지브리 프사 도전 안 해보셨다면, 한 번쯤 체험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네요
'IT정보 >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R이란, 정책동향, 관련주, 시장전망 (0) | 2025.04.16 |
---|---|
국내 반도체 스타트업의 다크호스, 퓨리오사AI가 주목받는 이유는? (3) | 2025.04.16 |
오사카 엑스포의 미래 이동수단, 가와사키의 네발 로봇 ‘콜레오(Coleo)’ 전격 공개! (1) | 2025.04.13 |
영화관 이제 LED로 본다, 삼성 시네마 LED 스크린 오닉스 공개 (0) | 2025.04.05 |
챗GPT 글로벌 이용자 5억 명 돌파, 스튜디오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 기능 인기 (1)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