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명품 플랫폼 발란이 입점 판매자(셀러) 미정산 사태를 일으킨 데 이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발란|BALAAN
샤넬, 구찌, 끌로에, 이자벨 마랑, 펜디, 지방시, 발렌시아가 등 100만 신상품 최대 87% 할인, 럭셔리 쇼핑을 발란에서 즐겨 보세요.
www.balaan.co.kr
1. 발란의 미정산 사태 발생
지난 3월 24일, 발란은 일부 입점사에 대한 정산대금을 지급하지 못했다. 발란은 통상적으로 입점사별로 일주일, 15일, 한 달 등 정산 주기를 설정하여 판매대금을 지급하는데, 이번에 정산 일정이 도래한 입점사들에 대금을 지급하지 못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약 20~30명의 입점사 대표들이 발란 사무실을 방문하여 항의하는 소동이 벌어졌고, 경찰이 출동하는 상황까지 이어졌다. 발란의 월평균 거래액이 약 300억 원이며, 1300여 개의 입점사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사태가 미칠 파장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발란 측은 이에 대해 “자체 재무 점검 중 정산금이 과다 지급되는 등의 오류가 발견돼 재산정을 진행 중”이라며, “3월 28일까지는 입점사별 확정된 정산액과 지급 일정을 통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입점사들의 불안은 여전한 상황이다.
2.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 가능성
발란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할 것이라는 분석이 업계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3월 26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발란 기업 회생절차 준비 증거 파일’이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게시글 작성자는 “셀러들이 발란 측과 미팅을 가졌을 때 해당 파일이 컴퓨터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미 기업회생절차를 준비하고 있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해당 게시글에서는 발란이 실리콘투와 사전에 논의된 계획을 바탕으로 회생절차 및 폐업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또한 일부 언론에서도 발란 경영진과 연락이 닿지 않는 점을 들어 기업회생신청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발란 관계자는 “경영진과 연락이 닿지 않는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지만, 기업회생 신청 여부는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발란 - 참 쉬운 럭셔리 쇼핑 앱 - Google Play 앱
가입 즉시 최대 20% 쿠폰 발급!
play.google.com
3. 발란의 재정 상황과 기업가치 평가
발란은 최근 실리콘투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292억 원의 기업가치를 평가받았다. 이는 2023년 초 3200억 원 대비 10분의 1 수준으로 급락한 수치다. 실리콘투는 조건부로 75억 원을 우선 투자한 상태이지만, 현재의 미정산 사태와 법정관리 신청 가능성이 현실화될 경우 추가 투자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하면 발란의 모든 채무와 채권은 일시적으로 동결되며, 채권자들은 법원의 회생계획안에 따라 변제를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입점 판매자, 소비자, 투자자 모두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4. 업계 반응과 전망
이번 사태와 관련하여 업계에서는 지난해 티몬·위메프(티메프)의 미정산 사태가 재현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발란은 코로나19 이후 오프라인 매장과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빠른 성장세를 보였으나, 최근 고물가와 고금리, 소비 위축으로 인해 판매 부진이 지속되었다. 2023년 기준 약 100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지속적인 적자 상황에 빠져 있었던 점도 위기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발란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할 경우, 기존의 계약관계와 거래구조가 크게 변경될 가능성이 높아 입점사와 소비자들의 피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관련 업계에서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응책을 마련하는 분위기다.
5. 결론
발란의 미정산 사태는 단순한 기술적 오류가 아닌, 심각한 재무적 위기의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기업회생절차 신청 여부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여러 정황상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향후 발란이 입점사 및 소비자들과의 신뢰를 회복하고 정상적인 운영을 지속할 수 있을지, 아니면 법정관리 절차를 거쳐 구조조정 및 매각 등을 추진할지 주목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발란 사태가 국내 명품 플랫폼 시장 전반에 미칠 파장을 우려하며, 정부와 금융기관의 적절한 개입과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경제정보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55세 이상 고령 임금근로자의 3분의 1 이상이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임금을 받는다 (1) | 2025.03.30 |
---|---|
미국 국채 종류, 투자 방법, 투자 시 고려 사항 (1) | 2025.03.30 |
현대차그룹, 2028년까지 미국에 210억 달러 투자 발표 (2) | 2025.03.25 |
중산층 가구의 여윳돈 감소: 원인과 경제적 영향 (2) | 2025.03.25 |
CPI(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란? 계산방법, 역할 , 인플레이션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