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정보/기타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분석: 역대급 폭염과 이상기후의 영향 총정리

반응형

2024년은 대한민국 기상 관측 역사상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됐다.
한가위 폭염, 기록적인 열대야, 장마철 집중호우, 11월 폭설 등 이상기후 현상이 뚜렷했다.
농작물 피해, 가축 폐사, 해양 생태계 변화 등 인명·재산 피해가 심각했다.

최근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한국 역시 예외가 아니다. 정부가 2024년 4월 1일 발표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은 역대 최고 기온과 기록적인 기후 변동성을 경험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이상기후의 특징, 원인, 피해 현황, 그리고 향후 전망과 대응 방안을 자세히 정리해본다.

 

1. 2024년 한국 기후 분석: 역대 가장 더운 해

① 평균기온 역대 최고 기록 (14.5℃)

2024년 한국의 **연평균 기온은 14.5℃**로, 기상 관측망이 전국적으로 확충된 197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여름철 평균기온(6~8월)은 25.6℃**로 역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 이상고온 발생일:
    • 최고기온 기준: 76.7일
    • 최저기온 기준: 103.6일
    • 여름철(6~8월) 열대야 일수: 20.2일 (평년의 3.1배 증가)

한가위 폭염 (9월)도 심각했다.

  • 9월 이상고온 발생일(최고기온 기준): 16.9일
  • 9월 이상고온 발생일(최저기온 기준): 19.7일
  • 9월의 절반 이상이 ‘이상기온’ 상태

세계기상기구(WMO)는 2024년을 **“한국 역사상 가장 더운 여름”**으로 공식 기록했다.

 

2. 바다도 뜨거웠다: 역대 최고 해수면 온도

2024년은 육지뿐만 아니라 바다에서도 이상기후가 두드러졌다.

  •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 온도: 17.8℃ (최근 10년 중 최고치)
  • 이상고수온 발생일: 182.1일 (최근 10년 평균의 3.6배 증가)

 해수온도 상승의 영향

  • 양식장 피해:
    • 양식 생물 대량 폐사 (피해액 1,430억 원)
  • 해파리 대량 출현:
    • 해파리 쏘임 사고: 4,224건 (전년 대비 5.6배 증가)
    • 해파리 구제량: 6,333톤 (전년 대비 5배 증가)

해수 온도 상승은 해양 생태계 교란, 수산업 피해, 태풍 강도 증가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3. 역대급 집중호우와 이상기후 패턴 변화

① 여름철 강수 집중도 52년 만에 최고

2024년 여름철 비는 평년보다 많았고, 장마철에 집중적으로 내렸다.

  • 2024년 장마철 전국 강수량: 474.8mm (평년 356.7mm 대비 증가)
  • 여름철 강수 중 78.8%가 장마철에 집중 (1973년 이후 최고)
  • 1시간 강수량 100mm 이상 폭우: 9번 발생
  • 2024년 7월 10일 전북 군산 어청도: 1시간 강수량 146mm 기록

 7월 집중호우 피해 규모

  • 농작물 피해: 9,447ha (여의도 면적 32배)
  • 농경지 유실·매몰: 891ha
  • 가축 폐사: 102만 2천 마리
  • 산사태 피해: 167ha

장마철 강수 집중도가 높아지면서 홍수와 산사태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

 

4. 폭염과 농축산업 피해 심각

① 온열질환 및 가축 폐사 증가

  • 온열질환자: 3,704명 (전년 대비 31.4% 증가)
  • 폭염으로 가축 폐사: 168만 9천 마리 (전년 대비 88만 1천 마리 증가)
  • 벼멸구 피해: 1만 7,732ha의 벼 농사 피해

② 폭염과 농작물 피해

  • 폭염으로 피해 입은 농작물: 3,447.1ha
  • 7월 중순 집중호우로 피해 본 농작물: 9,449.6ha
  • 농경지 유실·매몰: 890.6ha

폭염과 이상기후로 인해 농업 생산성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식량안보 위기가 대두되고 있다.

 

5. 늦가을 폭설과 겨울철 이상기후

2024년 11월에는 이례적인 폭설이 발생했다.

  • 서울, 인천, 수원 등 수도권 지역에서 11월 적설 신기록 갱신
  • 늦가을 폭설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 증가

겨울철 이상기후 피해

  •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 기간(12~2월) 인명 피해: 6명
  • 재산 피해: 3,893억 원

폭염과 폭설이 공존하는 극단적인 날씨 변화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반영하는 현상이다.

6. 이상기후의 원인과 전망

① 2024년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

  1. 지구온난화로 인한 온도 상승
  2. 엘니뇨 및 라니냐 현상에 따른 기후 변화
  3.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인한 기류 변화
  4. 온실가스 배출 증가에 따른 기후위기 가속화

② 향후 전망

  • 한국 기후는 더욱 뜨거워질 가능성이 높다.
  • 기후변화로 인한 극단적인 기후 이벤트 (폭염, 한파, 폭설, 태풍 등) 빈도 증가 예상

7. 기후변화 대응 방안 및 결론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 방안

  • 기후변화 예측 및 대응 시스템 강화
  • 재생에너지 확대 및 탄소중립 정책 강화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법·제도 정비
  • 농축산업 및 해양산업 피해 저감 대책 마련

개인이 실천할 수 있는 기후 행동

  •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 소비
  • 대중교통 이용 및 탄소발자국 줄이기
  • 환경 보호 및 기후위기 대응 캠페인 참여

2024년은 대한민국 기후변화의 전환점이 된 해였다. 앞으로도 이상기후는 더욱 심각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부와 기업, 개인이 함께 적극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